카테고리 없음 / / 2023. 3. 14. 08:10

해외구매대행 가이드 책리뷰3 키워드 검색수 경쟁강도

반응형

목차

● 상품키워드에 관해

● 키워드 검색수

● 키워드 경쟁강도

온라인 사업의 필수요소인 키워드에 대해서 알아보고, 해외구매대행에 적합한 검색수와 경쟁강도등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 상품키워드의 이해

온라인상에서 상품을 구매할 때나 정보를 찾을 때 대부분은 본인이 찾고자 하는 상품이나 정보와 관련된 키워드를 검색을 통해 원하는 상품이나 정보를 찾습니다. 어떤 키워드를 입력했느냐에 따라서 검색되는 상품이나 정보가 달라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나이키 운동화를 구매하고자 하는 고객은 검색창에 나이키운동화를 입력하고 엔터버튼을 눌러서 검색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나이키운동과 관련 상품들이 자동으로 검색될 것입니다. 이때 나이키운동화 가 바로 키워드이며 사람들이 검색하는 이러한 단어들을 키워드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이 키워드는 띄어쓰기보다는 의미단위의 단어를 말하며, 여러 가지 키워드가 나열되어 있을 때에는 앞쪽에 위치할수록 검색 우선순위에 반영됩니다. 예를 들어 상품명을 '고양이컵 스타벅스 머그컵 Tall ' 로 정하였다고 하면 이 상품명은 고양이컵, 스타벅스, 머그컵, tall이라는 4개의 키워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해당 상품명은 어떤 키워드가 노출우선순위로 반영될까요?  정답은 고양이컵, 맥도널드, 머그컵, tall 순서로 검색우선순위에 반영되어 노출되게 됩니다. 즉 이 상품이 온라인에서 노출되는 데는 맨 앞쪽의 고양이컵이라는 키워드의 영향력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키워드는 자동적으로 조합되어 검색에 노출되게 됩니다. 즉, 예시로든 상품명은 '고양이컵 머그컵'으로 검색되어도 노출되며, '고양이컵 스타벅스'로 검색되어도 노출된다는 의미입니다.

● 키워드 검색수

키워드 검색수는 해당 키워드가 특정기간 동안 얼마나 검색이 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키워드 검색수는 대표적인 포털사이트인 네이버에서 제공하고 있는 '네이버 광고' 사이트에서 특정 키워드 검색을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네이버 광고에서 특정 키워드를 검색해 보면  한 달간의 검색수 수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품명으로 검토하고 있는 키워드들이 있다면 해당 사이트에서 사전 검색을 통해 한 달간 얼마나 검색되고 있는 키워드 인지, PC와 모바일에 서는 각각 얼마나 검색되고 있는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단순하게 무조건 검색수가 많은 키워드가 잘 판매되는 키워드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아무리 많은 사람들이 검색하고 있는 키워드라 할지라도 해당 키워드로 판매되고 있는 상품도 많다면 새롭게 판매하기에 좋은 키워드가 이 닙니다. 특정키워드로 판매하고 있는 상품수는 어떻게 확인이 가능할까요? 국내 대표포털사이트인 네이버 쇼핑에서 검색을 해보면 해당 키워드로 전체 몇 개 상품이 판매되고 있는지 이 중에서 해외직구로 판매되는 상품이 몇 개인지까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해외구매대행으로 판매되는 상품과 국내 수입유통을 통해 판매되는 상품의 특성이 많이 다르므로 해외직구 탭의 상품수를 통해 해당 키워드의 시장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전체상품수 대비 해외직구 상품의 비율을 계산해 보면 해외직구 상품이 해당키워드에서 얼마의 비중으로 판매되고 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때 일반적으로 해외직구상품의 비중이 50% 이상일 경우에 해당 키워드 상품의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 키워드 경쟁강도

좋은 키워드는 어떻게 판단하면 될까요? 좋은 키워드란 판매가능성이 높은 키워드이므로 검색량은 높지만 등록되어 판매되고 있는 상품수는 적은 키워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요는 많은데 공급은 적은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로 판매해도 판매될 가능성이 높은 키워드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판단의 근거자료로 살펴볼 수 있는 지표가 경쟁강도라는 지표입니다. 앞서 설명드린 특정키워드의  한 달간 총검색수를 수요라고 하고, 현재 등록되어 판매되고 있는 상품수를 공급이라고 한다면 해당 키워드의 수요 대비 공급의 비중을 수치로 계산한 값이 경쟁강도입니다. 즉 특정키워드의 총 상품수를 총검색수로 나눈 수치입니다. 그렇다면 좋은 키워드는 경쟁강도가 높을까요 낮을까요?  당연히 경쟁강도가 낮을수록 좋은 키워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쟁강도가 낮을수록 총 검색수대비 판매상품수가 적어지므로 경쟁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좋은 키워드의 기준을 경쟁강도가 1 이하인 키워드로 잡습니다. 경쟁강도가 1 이하라는 의미는 상품수 보다 총검색수가 많다는 의미이므로 공급보다 수요가 많은 상태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해외구매대행 상품의 경우에는 경쟁강도가 높다고 해서 무조건적으로 나쁜 키워드라고 할 수 없습니다. 시스템을 통한 대량등록상품이 많을 경우 경쟁강도는 상품수에 비례해서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